명대(明代) 문신(文臣)들이 조선에 출사(出使)하여 조선 문인들과 창화한 시 문을 수록한《황화집(皇華集)》에는 견문을 기록하고 풍속을 채집하고 교유를 기 록한 작품들 이외에 일부 문자유희(文字遊戱)에 방불하는 작품들이 있는데, ‘동파 체(東坡體)’ 시가 곧 그러한 예이다. 동파체는 또 ‘신지체(神智體)’라고도 하는데, 문자의 분해와 재조합, 필획의 생 략과 추가 등의 방법을 사용해 적은 수의 ‘자도(字圖)’로 더 많은 ‘자의(字意)’를 담는 작시 형식이다. 《황화집》 속의 중국과 한국의 동파체 시는 모두 35수인데, 공용경(龔用卿), 화찰(華察), 주지번(朱之蕃)이 각각 1537년, 1539년, 1606년 세 차례 조선에 출 사했을 때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다. 본 논문은 ‘동파체’라는 명칭의 유래와 명나라 사신이 쓴 동파체 시의 창작배경과 의식, 중한(中韓) 동파체 시의 표현양상과 내용 및 중한 문인들의 동파체 시에 대 한 평가를 살펴본다. 동파체 시를 예로 명나라와 조선의 ‘시부외교’의 실제적 상황 을 고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ongpo Ti”: Games and Competition of Diplomatic Interaction between China Ming and Chosun via Poetry and Prose
The “Huang Hua Ji” is a compilation of works composed by Ming envoys and Chosun court officials. Besides travel literature, descriptions of customs and culture, and travelogues, there are also some pieces which are interplays of word characters. An example of this type of work is the “Dongpo Ti” Poems.
“Dongpo Ti”, also known as “Shenzhi Ti”, is a unique poetry style which involves breaking up, reorganizing, deleting and adding on strokes in characters, as well as using comparatively more “character meanings” in relation to “character illustrations”.
There are altogether 35 pieces of composition in the “Dongpo Ti”Poems of “Huang Hua Ji”. They were composed during the times when Gong Yongqing, Hua Cha and Zhu Zhifan were sent as envoys to Chosun in 1537, 1539 and 1606.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origin of the use of the title “Dongpo Ti” for this collection; the background and cultural ideologies when the Ming envoys composed the pieces; appearances, forms, textures, and contents; as well as the critiques on “Dongpo Ti” Poems by Chinese and Chosun literati. The author hopes to use “Dongpo Ti” Poems as a case study to study the foreign diplomatic interaction between China Ming and Chosun via poetry and prose.